목적

간단하게 crud 까지 만들어 놓은 todo를 배포해 보고 싶다!대신 배포를 할때 너무 과하게 하지 말고 말그대로 배포까지! 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사용 기술

프론트 : React/ tailwind

백 : strapi

배포: heroku

참고 글

Heroku Deployment - Strapi Developer Docs

strapi로 만든 API 배포 후 서비스에서 사용해보기

시작하면서

저 같은 경우에는 보통 배포라던가 혹은 새로운 것을 만들때 고르는 기준중 하나가 문서화가 잘되어있나를 확인하는 편입니다. 그래서 heroku를 이용하게된 계기는 첫번재가 strapi 배포를 검색해 보았을때 heroku와 연관된 글을이 바로 나왔기 때문이고 두번째는 strapi 자체가 문서화가 잘되어있기 때문입니다.

기본 세팅 하기

일단 strapi에 연결하기전에 heroku의 기본 세팅을 진행해 주어야 합니다. 저같은 경우에는 윈도우 환경을 이용하고 있었기 때문에 , 윈도우에 하로쿠를 설치해주는 방향으로 진행해 주었습니다. 그외의 설치방법의 경우에는 아래의 heroku-cli를 참고해 각각의 설치 방법을 참고해 진행해 주면 됩니다.

<aside> 💡 heroku-cli

</aside>

설치가 완료 되었다면 이제 아래의 커멘드를 통해서, 하로쿠 사이트에서 회원 가입이 가능하므로 회원 가입후에 아래의 커멘트를 통해서 하로쿠 로그인을 진행해 주면 됩니다

heroku login

이후에는 strapi를 이용해 새로운 프로젝트를 만들어 주거나 이미 존재하는 프로젝트와 연결해 주면 됩니다. 만약 새로운 프로젝트를 만드는 경우에는 아래의 커멘드를 이용해 주어야 합니다

npx create-strapi-app@latest my-project --quickstart

<aside> 💡 --quickstart 옵션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Heroku와 호환되지 않는 SQLite 데이터베이스가 사용됩니다. 따라서 다른 데이터베이스 선택사항을 선택해야 합니다.

</aside>

이후 설치가 완료 되었다면 gitingnore 부분을 업데이트 해주어야 합니다. gitingnorepackage-lock.json 을 추가해 주면 되는데, 일반적으로 이 파일의 버전을 이용하는 것이 권장되지만 heroku를 이용할 경우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